'2패' 대한민국, 더는 잃을 것도 없다...닥공으로 맞서자
[팀캐스트=풋볼섹션] 사실 포기했는데 기회가 또 왔다. 이거 왠지 느낌이 썩 나쁘지는 않다. 대혼란에 빠진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에 마지막 찬스가 주어졌다. 지든 이기든 조금은 화끈해보자.
대한민국은 24일[한국시간] 러시아 로스토프 아레나에서 북중미의 절대 강자 멕시코를 상대로 2018 러시아 월드컵 F조 2차전을 치렀다. 결과는 누구나 다 아는 1:2 패배. 이로써 대한민국은 16강 진출이 어렵게 됐다. 하지만, 같은 조에 속한 독일이 스웨덴과의 경기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실낱같은 가능성을 나눠줬다. 때문에 대한민국은 독일과의 최종전에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다시 경기에 나설 수 있게 됐다. 단순히 유종의 미를 거두는 것보다는 동기부여가 확실하다. 졌다고 눈물만 흘리고 있을 게 아니다.
조별 리그 마지막 상대는 독일인데? 그래서 뭐 어쩌라고.
맞다. 대한민국이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맞붙는 팀은 다름 아닌 디펜딩 챔피언 독일이다. 이름만 들어도 위압감이 든다. 하지만 지레 겁먹을 필요는 없다. 이미 스웨덴과의 1차전을 통해 그러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충분히 깨닫지 않았는가. 괜히 스웨덴전을 앞두고 트릭이니 뭐니 쓸데없는 언론 플레이만 하다가 정작 경기에 들어가서는 잔뜩 주눅만 들어 대한민국이 가진 능력을 50퍼센트도 채 보여주지 못했다. 만약 독일전에서 100퍼센트의 힘만 발휘하면 얼마든지 승리도 가능하다. 물론 질 수도 있다. 그럴 확률이 더 높다. 그렇지만, 독일이 대한민국을 꺾은 스웨덴을 이겼다고, 당연하게 승리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신이 아니고, 축구는 상대적이다. 어떤 상대와 경기를 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진다.
장현수와 김민우? 수비수니깐 실점에 직접적으로 관여된 거 아냐.
그저 안타깝다. 장현수와 김민우는 스웨덴과 멕시코 2경기에서 무모한 수비로 페널티킥을 너무 쉽게 내주고, 패스 정확도도 크게 떨어지는 등의 기초적 실수를 연달아 저질러 팀에 치명타를 입혔다. 부정할 수 없는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팀 패배의 책임이 두 선수에게만 있다고 몰아가는 것은 잘못됐다. 행여 두 선수 때문에 실점을 했다고 치자(실제로도 그랬지만), 단순하게 생각해서 이기려고 하면 공격수가 더 많은 골을 넣었으면 된다. 반대로 먼저 득점하면 수비수가 어떻게 해서든 실점하지 않도록 수비를 하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멕시코전에서 경기 초반에 얻었던 기회를 공격진이 한 번이라도 성공시키며 득점으로 연결했다면, 오늘 경기 양상은 우리가 본 것과는 다르게 흘러갔을 것이다. 그러지 못했기 때문에 대한민국 수비진에 부담감이 가중되며 페널티킥을 내주는 등의 불편하고 복잡한 상황이 생겼다고 생각하면 멕시코전 패배는 수비가 아닌 공격진의 책임이 더 크다고 할 수도 있다. 결국 결과론적 이야기다. 누굴 탓하기 보다는 그저 결과를 인정하는게 속편하다.
이젠 잃을 것도 없다. 무조건 이기기 위해 미친듯이 공격하자.
어렵게 기회가 주어졌다. 대한민국은 이제 독일전에서 승리해야 승산이 있다. 멕시코가 스웨덴전에서 2골 차 이상으로 승리했다는 가정하에 대한민국은 독일을 상대로 무조건 승점 3점을 획득해야 한다. 그러면 독일, 스웨덴과 함께 승점 동률을 이루고 골득실과 상대 전적에서 앞서며 16강에 오를 수 있다. 일단 지면 탈락이다. 즉 다시 말해 공격적으로 나서 무슨 수를 써서라도 골을 넣고 독일을 이겨야 한다는 것. 득점을 하지 못한 상황에서 실점을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 골을 넣지 못하면 1골을 실점해서 지는 것과 100골을 실점해서 지는 결과는 같다. 지푸라기도 잡으려면 닥공[닥치고 공격]만이 살길이다. 져도 괜찮다. 우린 이미 많은 것을 잃었다. 더 이상 잃을 것도 없다. 그렇기에 독일을 상대로 닥공이라는 무모한 도전을 해볼만한 가치는 있다. 독일전까지 남은 기간은 단 사흘. 뭘 준비하기는 너무 짧다. 그냥 아무런 부담감을 갖지 않고 오직 골을 넣겠다는 집념만 있으면 된다. 그건 공격수가 됐건, 수비수가 됐건 상관이 없다. 누구라도 골을 집어넣을 수만 있으면 된다. 기적은 누구도 예상치 못한 상태에서 일어난다. 그 주인공이 대한민국이 될 수 있다.